Q. 왜? 정신클리닉을 받아야 하나요?
A. 재발과 회복의 개념을 올바로 이해하고 회복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터득해 퇴원 후 재발방지를 목표로 합니다.
Q. 그렇다면 정신클리닉 종류는 무엇이 있나요?
A. 대표적으로 우울증, 조울증, 공황장애 조현증등이 있습니다.
-
우울증
분명한 원인에 대하여는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다른 정신 질환과 같이 다양한 생물학적, 유전적 그리고 사회환경적 요인이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생물학적 요인으로는 신경전달 물질이라고 불리는 뇌 안의 물질 중 몇 가지 성분(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엔도르핀 등)의 변화가 우울증 발생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호르몬 불균형이나 뇌의 기능 이상 등도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
조울증
조울증은 기분장애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입니다.기분이 지나치게 들뜨는 조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기분이 극심하게 가라앉는 우울증이 나타나기도 한다는 의미에서 ‘양극성 장애’라고도 합니다.극단적인 기분의 변화가 주기적으로 나타나고, 평균 발병 연령은 30세 정도로 평생에 한 번 이상 발병할 확률은 약 1% 정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나폴레옹, 처칠, 고흐, 미켈란젤로, 차이콥스키, 단테, 헤밍웨이, 헨델 등이 조울증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될 정도로 흔한 질병입니다.
-
공황장애
공황장애는 곧 죽을 것 같은 갑작스러운 공포가 생기면서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막히는 등의 경험을 하는 불안장애입니다. 전 인구의 1~3% 정도가 겪을 정도로 흔한 질병인 공황장애는 심장이나 호흡 장애로 생각하고 내과를 방문하여 여러 가지 검사를 해도 원인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
조현증(정신분열병)
조현증이란 정신분열병을 일컫는 말입니다. 조현이라는 말은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조현증이라는 이름은 신경계 또는 마음의 조율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마음의 기능에 문제가 생긴 질환이라는 의미입니다.
-
치매
치매는 기억력과 인지 기능의 감퇴뿐만 아니라 성격 변화, 엉뚱한 행동 등 가정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는 뇌 질환으로 흔히 ‘노망’ 또는 ‘망령’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치매는 중추 신경계의 불치성 퇴행성 질환으로 성장기에 정상적인 기능을 하던 성숙한 뇌가 나이가 들어가면서 또는 사고나 질병 등으로 손상을 입어 지적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